안녕하세요. EUROCERT KOREA입니다.
기업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기준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ESG 경영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미 많은 기업들이 ESG 운영 및 관련 인증을 취득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죠.

사실, 기업 운영의 가장 큰 목적은 단연 이윤 창출입니다.
그러나 전 세계 정부와 소비자들이 기업에게 사회적 책임을 질 것을 요구하고 있고,
소비자들이 본인의 구매활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여
'가치 소비', '미닝 아웃'을 추구하는 만큼
ESG 요소를 무시한 채 경제적 이익만을 쫓는 기업은 더 이상 생존할 수 없습니다.

'돈쭐' 이라는 신조어, 어떤 뜻인지 알고 계십니까?
"감히 선행을 저지르다니, 돈쭐을 내주겠다.", "정신없이 돈 벌게 해주겠다." 와 같이 쓰이는데,
좋은 의미의 말인 것 같기도 하고, 왠지 혼나는 듯한 느낌도 드는 말입니다.
돈쭐이란 돈으로 혼쭐을 내겠다-는 뜻입니다.
본래 '벌을 준다'라는 의미를 지닌 혼쭐과, 모두가 좋아하는 '돈'의 합성어이죠.
온라인에서 많이 쓰이는 '돈쭐'은,
자신의 이윤을 제쳐놓고 타인에게 선행을 베푼 사업자에게
소비자들이 감사 및 칭찬의 의미로
해당 기업의 매출을 올려주려 제품을 소비해 주는 하나의 소비 형태입니다.

즉, 사회적·정치적·윤리적 이유로 특정 조직과의 거래를 중단하는 '보이콧(boycott)'과
반대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 바로 돈쭐, '바이콧(buycott)'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이유로 돈쭐, 즉 바이콧 당한 업체는 어떤 곳이 있을까요?

지난 2019년, 강원도 고성에 대형 산불이 발생하여
많은 소방관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긴 시간 동안 불길 진화에 참여했습니다.
모두의 우려와 걱정이 그에 쏠린 상황에서,
한 닭갈비 업체가 소방관에 대한 감사와 응원의 의미로 해남 소방서에 닭갈비를 전달한 것이 화제가 되었습니다.
해남 소방서가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감사의 마음을 전하자,
네티즌 또한 해당 닭갈비 업체를 알아내어 하루 100건 이상의 주문을 넣는 등,
자발적 선행에 대한 칭찬을 보냈죠.

또한 서울시 소재의 파스타 식당인 C 파스타는,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카드를 소지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음식을 무료로 제공할 테니 편하게 식사하라는 내용의 안내문을 고지하였습니다.
어린아이들에게 맛있는 한 끼를 전달하려는 따뜻한 마음이 전해지자,
전국 곳곳의 식당 및 카페에서도 선행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이른바 '선한 영향력' 모임이 조성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형제에게 치킨을 무상으로 제공한 치킨집, 아픈 딸과 살고 있는 아버지에게 피자를 전달한 피자집 등.
자발적으로 주변의 이웃에게 선행을 베푼 업체들을 찾아 소비하는 '돈쭐' 소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돈쭐', 가치 소비의 일종입니다.
가치 소비란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에 대해 과감히 소비하는 경향으로,
사회 및 환경 이슈에 민감한 MZ 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소비 형태입니다.
소비자들은 사회와 환경에 선한 영향을 끼치는 기업을 긍정적으로 소비하는 반면,
비도덕적이고 불공정한 경영 활동을 보이는 기업에게는 불매 운동으로 대응합니다.

국내 이커머스 업계 1위를 달리는 C사, 그동안 노동 환경에 대한 지적이 여러 차례 이어져왔습니다만,
올해 발생한 물류센터 대형 화재로 인해 열악한 노동자 처우에 대한 민낯이 드러나
SNS를 통한 C사 회원 탈퇴 운동이 연이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가 불매 운동, 보이콧(boycott)인 것이죠.

성장관리 애플리케이션, '그로우'가 MZ 세대 92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MZ 세대의 79%가 본인이 가치소비자라 판단했습니다.
가치소비에 대한 관심 척도는 5점 만점에 3.8점으로 나타난 것을 보아
현재 시장의 주소비층인 MZ 세대가 가치소비에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겠습니다.
이처럼 가치소비가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는 현 시장에서,
기업은 이미지 제고를 넘어 중장기적 생존을 위해 ESG 경영을 실천해야 합니다.

ESG 경영에 대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다양한 시스템 인증이 진행되고 있으니
EUROCERT 사이트를 참고해 주세요!
기업은 위 인증을 통해 자사가 ESG 경영을 위한 시스템을 갖추었음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윤리 경영 참여를 통한 기업 성장 및 고객 이미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EUROCERT KOREA로 문의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인증 문의]
코렉스 인증그룹(주) / EUROCERT KOREA
인증심사팀
E-mail : eurocert@eurocert.kr
연락처 : 02) 783-9581
Fax : 02) 783-4576
'사회적책임경영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외되는 아이들이 없도록, (0) | 2022.05.11 |
---|---|
모두의 세상을 위해! (0) | 2022.04.28 |
직장 내 괴롭힘, 기업 차원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0) | 2021.11.26 |